1
봤으면 고치라고・・・
4
오히려 고치고 자랑하는 교수는
봤으면 고치라고・・・
4
오히려 고치고 자랑하는 교수는
5
고치면 Wikipedia 복붙 해버리잖아
과제하는데 위키 복붙하지 말란 소리잖아...
고치면 Wikipedia 복붙 해버리잖아
과제하는데 위키 복붙하지 말란 소리잖아...
6
위키피디아가 발광하니까 어쩔 수 없어
7
wiki 안에서 신뢰가 없으면 올바른 얘길 써도 불평당하고 원래대로 돌아감
65
>>7
또한 적당한 출처만 붙여두면 거짓말이어도 진실이 되는 모양
9
고쳐도 금방 돌아가잖아
10
어쩔 수 없지
11
의약품 구조 평범하게 틀려서 존나 웃음
14
오류가 있으니까 참고는 적당히 하란 얘기지
21
학술 관련의 대부분은 영어판 Wikipedia를 번역한 레벨에도 이르지 못한게 어이없음
24
불평할거면 니가 고치라고
39
>>24
귀찮아
27
고쳐도 무의미
29
법학 밖에 모르지만 전체적으로 학술 수준이 20년은 뒤쩔어짐
34
참고 문헌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들자 집회
35
학술따위 wiki 보고 책 읽으라고
37
나 「여기 틀렸잖아. 고쳐두자」
↓
다음날, 삭제, 변경되었습니다
우째서
51
>>37
이거 진짜 쓰레기
덧글
책을 읽으라곤 안 할테니 논문검색 정도는 해
그리고 지금은 위키에서 떠온 자료를 되돌려보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위키만 믿고 살다가 결국 팩트,팩트에 시달리다 보니 이거저거 자구책을 짜다보니 저도 거기까지 흘러들어가 버린...
논문 수정 봐 주는데 웃다 죽는 줄 알았음.
예를 들어 평가가 안 좋은 번역의 사례에서 오경화가 언급된다면, 각종 사이트에서 오경화가 어떤 식으로 평가받는지 직접 확인해서 진짜인지 구라인지 확인하고, 번역 비판 현상을 분석한 연구자들의 자료 중 비슷한 이론이나 사례를 찾아서, "오경화의 번역에 관한 이러한 비판의 원인은 김박사의 무슨무슨 이론에 따르면 이러저러한 것(김박사, 2005, p184)이라고 할 수 있다" 는 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하지만 그런 검증 과정이 없으면 어떤 트롤러가 "네이버 영화평에서 데드풀의 번역을 비난하는 덧글이 가장 많은 추천 수를 받고 있다" 는 반달질을 했을 때 고대로 낚여서 인용해버리는 일이 생기는 거고요.
왜 그걸 100% 믿으면서 논란을 일으키는것인가!!
교수의 시간하고 니들따위의 시간이 동등할 것 같으냐
ㅈ무위키 x위병들 짹짹거리는 것도 허구헌날 니가 고쳐라, 니가 토론해라, 니가... 인데
정상적인 사람들이 모두 니들만큼 문구 방향성가지고 싸우면서 24시간 상주 키배할 수 있간들이 아니라는 걸 입싹씻음
심지어 포스팅 단축url도 못따서 읽을수조차 없는 수준으로 4줄짜리 주소를 각주에 처박지마
소위 문제가 되었던 탄핵대통령 임기중에 논란이 됐던 근현대사 교과서에 당당히 엔하위키나 미러가 출처로 들어가서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ㅋㅋㅋ" 하면서 낄낄 댔음.
그런데 한국어 위키피디아는 일본어에 비해서도 너무 부실...
1. 니가 해당 위키를 참고한 날자를 꼭 표기할것. 위키는 언제든지 수정될 수 있으니 날자와 시간을 기록해 해당 문건이 수정되더라도 백로그를 뒤져서 나중에 확인이 가능케 할 것.
2. 해당 위키의 정보를 뒷받침하는 자료가 밑에 링크로 걸려 있거나 참고한 문헌의 출처가 표기되어 있을 때.
3. 해당 자료가 어떠한 사실을 가리키는게 아닌 인터넷 여론을 반영하는 경우에 한해.
이 외에는 믿고 거르면 되죠(웃음)
위키피디아는 이렇게 오류가 많다고 엣헴이 아니라
자료조사 이따구로 성의없고 부정확하게 하지마라
=위키 쓰지마
라는 소리잖니
인터넷 기사댓글 > 단순블로그 포스팅 > 특정 매체나 언론에서의 사설칼럼 > 인터넷이나활자신문의 기사
그리고 최상위가 되고 오류에대한 책임과 검증이 가장큰분야가 사전내에서의 표기 순이되는데
위키의 특성상 작성은 자유롭지만 작성에대한 책임소재는 한없이 제로에가까운편
작성자 상당수가 오류에대해 책임을진다는 마인드보단 어차피 위키는 흥미거리니 상관없잖느냐 라는마인드이기에 위키를 부정할수밖에없는결과가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