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라인 게임은 쓸데없이 돈이 든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세상엔 매우 많다
이건 일부는 맞지만, 일부는 잘못되었다, 고 단언할 수 있다. 일부는 올바르기에
그 이유는 틀리지 않았고, 부정도 않겠다
하지만, 잠깐 기다려주길 바란다
일부는 잘못된 인식이므로 그 인식만이라도, 후술하는 내용을 읽어서, 다시 생각
해주었으면 할 뿐이다
온라인 게임은 「게임 소프트 구입 비용」 밖에도, 추가로 돈을 받는 경우가 많다.
얼핏 봐선 「플레이만 한다면 무료!」라고 써있기도 해서, 게임 내의 아이템을 사지
않으면, 만족스럽게 강해질 수 없거나
무료인채론 캐릭터의 육성에, 막대한 시간이 걸리거나 한다.
왜냐하면, 게임 개발 또한 비즈니스이기 때문이다.
(중략)
여기까지 읽어준 분들은 「뭐야, 역시 돈이 든다는 점은 다를 게 없잖아」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확실히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 한다면, 게임 소프트 구입과는 별도로 돈이 든다.
하지만 「쓸데없이 돈이 든다」라는 점은 잘못된 것이다.
앞서 쓴 것처럼, 반은 맞지만, 반은 틀렸다.
내가 총지휘를 했던 파이널 판타지 XIV은, 패키지를 구입하면, 30일의 무료 체험
기간이 같이 온다.
즉, 먼저 1개월, 패키지 이외의 돈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애초에, 같은 게임을
1개월이나 계속해서 플레이 하는 일은, 드물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1개월이 지나면, 플레이를 하기 위해서 “플레이 요금”을 필요로 한다.
파이널 판타지 XIV은, 「월정액제」라는 비즈니스 모델의 게임이므로, 평범하게
플레이를 한다면 이 이상의 돈은 전혀 들지 않는다.
강함과는 전혀 상관 없는, 장식이나 장비 등을 일단 팔고는 있지만, 딱히 그걸 산다고 하더라도, 게임을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자, 이 월 1500엔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점심 2, 3일분이다. 당연히 30일 플레이 자유이므로, 몇시간을 놀건 일정 요금이다
주에 3일, 1회 플레이 시간이 3시간 정도라고 한다면, 1시간당 42엔 정도가 아닌가
1년 플레이를 한다고 해도, 1만 8000엔 정도
회식을 3번 참가하는 정도의 금액이다
이걸「쓸데없이 돈이 든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다지 없지 않을까
https://www.asahi.com/and_M/20191120/7387865/
이건 일부는 맞지만, 일부는 잘못되었다, 고 단언할 수 있다. 일부는 올바르기에
그 이유는 틀리지 않았고, 부정도 않겠다
하지만, 잠깐 기다려주길 바란다
일부는 잘못된 인식이므로 그 인식만이라도, 후술하는 내용을 읽어서, 다시 생각
해주었으면 할 뿐이다
온라인 게임은 「게임 소프트 구입 비용」 밖에도, 추가로 돈을 받는 경우가 많다.
얼핏 봐선 「플레이만 한다면 무료!」라고 써있기도 해서, 게임 내의 아이템을 사지
않으면, 만족스럽게 강해질 수 없거나
무료인채론 캐릭터의 육성에, 막대한 시간이 걸리거나 한다.
왜냐하면, 게임 개발 또한 비즈니스이기 때문이다.
(중략)
여기까지 읽어준 분들은 「뭐야, 역시 돈이 든다는 점은 다를 게 없잖아」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확실히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 한다면, 게임 소프트 구입과는 별도로 돈이 든다.
하지만 「쓸데없이 돈이 든다」라는 점은 잘못된 것이다.
앞서 쓴 것처럼, 반은 맞지만, 반은 틀렸다.
내가 총지휘를 했던 파이널 판타지 XIV은, 패키지를 구입하면, 30일의 무료 체험
기간이 같이 온다.
즉, 먼저 1개월, 패키지 이외의 돈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애초에, 같은 게임을
1개월이나 계속해서 플레이 하는 일은, 드물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1개월이 지나면, 플레이를 하기 위해서 “플레이 요금”을 필요로 한다.
파이널 판타지 XIV은, 「월정액제」라는 비즈니스 모델의 게임이므로, 평범하게
플레이를 한다면 이 이상의 돈은 전혀 들지 않는다.
강함과는 전혀 상관 없는, 장식이나 장비 등을 일단 팔고는 있지만, 딱히 그걸 산다고 하더라도, 게임을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자, 이 월 1500엔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점심 2, 3일분이다. 당연히 30일 플레이 자유이므로, 몇시간을 놀건 일정 요금이다
주에 3일, 1회 플레이 시간이 3시간 정도라고 한다면, 1시간당 42엔 정도가 아닌가
1년 플레이를 한다고 해도, 1만 8000엔 정도
회식을 3번 참가하는 정도의 금액이다
이걸「쓸데없이 돈이 든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다지 없지 않을까
https://www.asahi.com/and_M/20191120/7387865/
국내 FF14은 여러가지로 다른 문제가 있으니까...
2
스쿠에니 「얼마나 가난한거여???」
스쿠에니 「얼마나 가난한거여???」
6
애들은 못하니까 좋아
7
실제로 FF14나 DQ10 같은 MMO는 가성비 좋잖아
8
실제로 10연보다 싸고
9
니코니코 프리미엄 500엔도 못낸다고? 라고 말하는 녀석도 있었지
24
>>9
니코니코의 경우는 이런 쓰레기 서비스에 돈 쓰는거냐 같은 감각
10
점심보다 못한 게임이 나빠
13
점심 2회 이하의 가치 밖에 없단 소리지 이거
14
돈 없는 녀석은 시간 들이니까 문제 없어
15
1500엔은 암만 그래도 비싸다고
19
네 다음 RMT
네 다음 게임 내 과금
21
바이크 사면 유리하잖아
25
5년 하면 무려 10만엔!
82
>>25
진짜 무직 같다 너
329
>>25
5년에 10만이라면 충분히 싸지 않아?
30
10일분이라고 이러니까 상급 국민은
31
게임은 가성비 좋잖아
80
슬슬 새로운 MMO 내줘
애들은 못하니까 좋아
7
실제로 FF14나 DQ10 같은 MMO는 가성비 좋잖아
8
실제로 10연보다 싸고
9
니코니코 프리미엄 500엔도 못낸다고? 라고 말하는 녀석도 있었지
24
>>9
니코니코의 경우는 이런 쓰레기 서비스에 돈 쓰는거냐 같은 감각
10
점심보다 못한 게임이 나빠
13
점심 2회 이하의 가치 밖에 없단 소리지 이거
14
돈 없는 녀석은 시간 들이니까 문제 없어
15
1500엔은 암만 그래도 비싸다고
19
네 다음 RMT
네 다음 게임 내 과금
21
바이크 사면 유리하잖아
25
5년 하면 무려 10만엔!
82
>>25
진짜 무직 같다 너
329
>>25
5년에 10만이라면 충분히 싸지 않아?
30
10일분이라고 이러니까 상급 국민은
31
게임은 가성비 좋잖아
80
슬슬 새로운 MMO 내줘
덧글
근데 요즘엔 게임별 커뮤니티도 다들 잘 되어있으니까 싱글플레이 게임이라고 해도 딱히 고립감 같은건 없죠.
가챠에는 몇백씩 때려박는건또 안아까운모양...(뭐하는짓이냐??)